안녕하세요~
건강한 하루입니다
오늘은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심장의 정상적인 수축에는 전기적 자극이 필요합니다. 그 체계는 동방결절(sinoatrial node), 방실 결절(atrioventricular node), 그리고 속가지(bundle branch)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방결절은 우심방과 상대정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심장의 전기적 리듬이 처음 시작되는 곳으로 정상인에서 맥박수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곳입니다. 방실 결절은 심방과 심실의 접합부에 위치하고 있고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심실의 속가지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좌측과 우측 두 개의 속가지는 전기신호를 심장의 근육으로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심장에서의 전기적 발생이 정상적인 경우,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신호를 규칙적으로 잘 만들어내면 방실 결절이 그 신호를 받아 속가지들로 빨리 전달시켜 두 심실의 수축을 거의 동시에 유발하게 됩니다.
부정맥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는
심장의 전기전달체계 자체의 병으로 동방결절 기능부전이 있습니다
- 방실 결절 기능부전군(방실차단, heart block)
- 비정상적 전기전달체계의 존재 (Wolff-Parkinson-White 증후군)
-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 이외의 곳에서 발생되는 전기파
- 유전적 질환
심장의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질환은
-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 등)
- 선천성 심장질환
- 심근증, 심장판막질환 등
심장의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 고도의 스트레스
- 카페인
- 술, 흡연
- 불충분한 수면
건강을 잃으면 전부를 잃는 것이라고 합니다.
규칙적인 생활로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함께 하면 좋은 건강정보
부정맥을 진단하는 검사 - 심전도
안녕하세요~ 부정맥을 진단하는 심전도 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심장은 전기전달체계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박동합니다. 동방결절에서 발생한 규칙적인 전기활동은 방실결절과 속가지
health50100.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