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행위별수가제, 7개 질병군 포괄 수가제, 신포괄수가제 용어 "알아보기"

반응형

행위별수가제, 7개 질병군 포괄 수가제, 신포괄수가제 용어 "알아보기"
행위별수가제, 7개 질병군 포괄 수가제, 신포괄수가제 용어 "알아보기"

 

 

건강 보험 용어를 검색 하고 계신다면,

건강 보험 심사 평가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가 낮설어서 일것입니다.

 

몸이 아픈 것도 서러운데 생소한 용어가 이해가 되지 않을때 답답한 마음은 말 할 필요 없는 스트레스입니다.

건강 보험 용어를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행위별수가제, 7개 질병군 포괄 수가제, 신포괄수가제 용어 "알아보기"


행위별수가제

행위별수가제는 환자가 병원에서 진료 받고 내는 진찰료, 검사료, 입원료, 약값 등의 항목 하나하나마다 가격을 더하여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즉 환자가 병원에서 제공받은 의료서비스의 종류와 양이 진료비 금액을 결정합니다. 

행위별수가제는 현재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의 기본 지불제도로 쓰이고 있습니다.


7개 질병군 포괄수가제

포괄수가제는 환자가 입원해서 퇴원할 때까지 발생하는 진료에 대하여 질병마다 미리 정해진 금액을 내는 제도입니다. 

입원비가 하나로 묶여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백내장수술, 맹장수술, 항문수술, 편도수술, 탈장수술, 자궁수술, 제왕절개분만 이렇게 7가지의 수술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신포괄수가제

행위별수가제와 7개 질병군포괄수가제의 대안적 모델로, 포괄지불방식과 행위별 지불방식을 병행한다. 

대부분의 의료서비스를 포괄로 묶고, 진료비 차이를 유발하는 고가 서비스를 행위별수가로 보상하는 제도이다.

 <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기능과 역할>


 

"본 저작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20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_건강보험 용어사전 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